*나스닥(NASDAQ)**은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주식시장 중 하나이며, 기술주 중심의 대표적인 거래소입니다. 애플, 마이크로소프트, 테슬라, 엔비디아 같은 글로벌 IT 기업들이 상장되어 있으며, 고성장 기업이 집중된 시장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
1️⃣ 핵심 개념 정리
핵심 개념설명추가 정보예시
나스닥 (NASDAQ) | 미국의 대표적인 전자식 주식시장 | 기술주 중심 | 애플, 테슬라, 구글 등 상장 |
나스닥 100 (NASDAQ-100) | 나스닥 상위 100개 비금융 기업 지수 | 기술주 비중 50% 이상 | 애플, 마이크로소프트, 엔비디아 |
나스닥 종합지수 (NASDAQ Composite) | 나스닥에 상장된 모든 기업 포함 | 3,000개 이상 종목 반영 | 소형주부터 대형주까지 포함 |
고성장 기술주 중심 | IT·반도체·전기차 등 신산업 주도 | 변동성이 크고 고위험·고수익 | 테슬라, 엔비디아, AMD |
주식시장 특성 | 전자거래 중심, 유동성 높음 |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인기 | 개장 시간 09:30~16:00 (미국 동부) |
2️⃣ 나스닥의 특징과 구조
✅ ✔️ 1️⃣ 나스닥의 역사와 특징
- 1971년 세계 최초의 전자식 주식거래소로 설립
- 기술 기업 및 스타트업 중심 → 전통적인 뉴욕증권거래소(NYSE)와 차별화
- 현재 애플, 마이크로소프트, 아마존, 테슬라, 엔비디아 등 세계적인 IT 기업이 상장됨
✅ ✔️ 2️⃣ 나스닥 100 지수의 구조
- 나스닥 100 = 나스닥 상위 100개 비금융 기업으로 구성
- 업종별 비중 (2024년 기준):
- 기술주 (52%) → 애플, 마이크로소프트, 엔비디아
- 소비재 (19%) → 아마존, 테슬라
- 헬스케어 (7%) → 모더나, 암젠
- 통신 (5%) → 구글, 메타
✅ ✔️ 3️⃣ 나스닥과 S&P 500의 차이점
구분나스닥 100S&P 500
기업 수 | 100개 (비금융 대형주) | 500개 (미국 대표기업) |
주요 업종 | 기술주 비중 높음 (50% 이상) | 다양한 업종 포함 (금융, 산업, 헬스케어 등) |
변동성 | 높음 (고성장주 중심) | 상대적으로 낮음 |
대표 ETF | QQQ (Invesco QQQ ETF) | SPY (SPDR S&P 500 ETF) |
3️⃣ 구체적인 예시 & 케이스 스터디
📌 예시 1: 2000년 닷컴 버블 & 붕괴
- 1990년대 후반 인터넷 기업들이 급성장 → 나스닥 지수 500% 이상 상승
- 2000년 닷컴 붕괴로 인해 나스닥 100지수 -80% 폭락
- 아마존, 애플 같은 생존 기업들은 이후 엄청난 성장
📌 예시 2: 2020년 코로나 팬데믹 & 기술주 폭등
- 2020년 3월 코로나로 인해 나스닥 100 급락 (-30%)
- 연준의 저금리 정책 + 디지털 경제 확산 → 나스닥 100 최고치 경신
- 애플, 테슬라, 엔비디아 등 기술주 주도
4️⃣ ✅ 요약하자면?
- 나스닥(NASDAQ) = 기술주 중심 전자거래 시장
- 나스닥 100 = 나스닥 상위 100개 비금융 대기업 지수
- S&P 500보다 변동성이 크지만, 장기적으로 높은 성장성
- IT, 반도체, 전기차, AI 관련 기업 투자에 적합
📊 S&P 500 vs. 나스닥 100 수익률 비교
연도나스닥 100 (%)S&P 500 (%)
2020 | +47.6 | +16.3 |
2021 | +26.6 | +26.9 |
2022 | -33.1 | -18.1 |
2023 | +54.9 | +24.2 |
그럼 전에 포스팅한 S&P500과 어떤 차이점이 있을지
알아보겠습니다.
📌 나스닥(NASDAQ) vs S&P 500 차이점 완벽 정리
나스닥과 S&P 500은 미국을 대표하는 주식시장 지수지만, 구성과 특성이 매우 다릅니다. **나스닥(NASDAQ)**은 기술주 중심이고, S&P 500은 미국 경제 전반을 대표하는 지수입니다. 🚀
1️⃣ 핵심 개념 정리
핵심 개념나스닥 100 (NASDAQ-100)S&P 500 (Standard & Poor’s 500)
구성 기업 수 | 100개 (비금융 대형주) | 500개 (미국 대기업) |
주요 업종 | IT, 반도체, 전기차, AI (기술주 중심) | 금융, 헬스케어, 산업, 소비재 등 다양한 산업 |
변동성 | 높음 (고위험·고수익) | 상대적으로 낮음 |
성장성 | 높음 (고성장 기업 중심) | 안정적인 성장 |
대표 ETF | QQQ, TQQQ | SPY, VOO |
대표 기업 | 애플, 마이크로소프트, 테슬라, 엔비디아 | 애플, 마이크로소프트, JP모건, 코카콜라 |
2️⃣ 주요 차이점 비교
✅ ✔️ 1️⃣ 구성 기업과 산업 구조 차이
- 나스닥 100 → 비금융 대형 기술주 100개 기업
- S&P 500 → 금융, 에너지, 산업 등 다양한 업종 포함
📊 업종별 비중 비교 (2024년 기준)
업종나스닥 100 (%)S&P 500 (%)
기술주 (IT, 반도체, AI) | 52% | 28% |
소비재 (아마존, 테슬라 등) | 19% | 11% |
헬스케어 | 7% | 14% |
금융 (JP모건, BOA 등) | ❌ 없음 | 13% |
✅ ✔️ 2️⃣ 변동성과 투자 성향 차이
- 나스닥 100 = 변동성 큼 ⚡ (고위험·고수익)
- S&P 500 = 상대적으로 안정적 📈 (중장기 투자)
📊 최근 5년간 변동성 비교 (연간 변동폭 %)
연도나스닥 100 변동폭 (%)S&P 500 변동폭 (%)
2020 | +47.6 | +16.3 |
2021 | +26.6 | +26.9 |
2022 | -33.1 | -18.1 |
2023 | +54.9 | +24.2 |
✅ ✔️ 3️⃣ 장기 수익률 차이
- 나스닥 100 → 최근 10년간 연평균 +18% 상승
- S&P 500 → 최근 10년간 연평균 +10~12% 상승
📊 최근 10년간 누적 수익률 비교
기간나스닥 100 (%)S&P 500 (%)
2013~2023 | +545% | +250% |
✅ ✔️ 4️⃣ ETF 비교 (대표 지수 추종 ETF)
비교 항목QQQ (나스닥 100)SPY (S&P 500)
운용 규모 | $2,500억+ | $4,000억+ |
변동성 | 높음 (고성장) | 안정적 |
보유 종목 수 | 100개 | 500개 |
장기 수익성 | 높음 | 안정적 |
3️⃣ 구체적인 예시 & 케이스 스터디
📌 예시 1: 2000년 닷컴 버블 & 붕괴
- 1995~2000년 IT 기업 급성장 → 나스닥 500% 상승
- 2000년 닷컴 버블 붕괴 → 나스닥 -80% 폭락
- 반면 S&P 500은 -40% 하락으로 방어력 강함
📌 예시 2: 2020년 코로나 팬데믹 & 기술주 폭등
- 2020년 3월 코로나 충격 → 나스닥 & S&P 500 급락
- 연준 저금리 정책 → 나스닥 100 +47.6% 급반등 (기술주 중심)
- S&P 500도 상승했지만 상승률은 나스닥보다 낮음
4️⃣ ✅ 요약하자면?
- 나스닥 100 = 기술주 중심, 높은 변동성, 고위험·고수익
- S&P 500 = 미국 경제 전체 반영, 안정적인 성장
- 장기 투자: 나스닥 100이 더 높은 수익 가능하지만 리스크 큼
- 안정적 투자: S&P 500이 변동성이 적고 꾸준한 상승
📊 나스닥 100 vs S&P 500 투자 적합성 비교
투자 스타일나스닥 100 (QQQ)S&P 500 (SPY)
단기 투자 (트레이딩) | 🔥 변동성 활용 가능 | 📉 안정적이어서 비효율적 |
장기 성장 투자 | 🚀 고성장 기업 집중 | 📈 안정적 수익 |
리스크 관리 | ⚠️ 변동성 큼 | ✅ 비교적 안전 |
배당 수익 | ❌ 배당 낮음 | 💰 배당 투자 가능 |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출산휴가급여 총정리¡¡¡ (3) | 2025.03.09 |
---|---|
2025년 임신, 출산,육아 지원 정책은 뭘까?! (3) | 2025.03.09 |
S&P500이란 뭘까?? 어떤 투자를 해야할까??? (0) | 2025.03.07 |
국내 금값 급락!! 15%나??? (1) | 2025.03.05 |
위기의 홈플러스 이대로 괜찮을까??? 상품권은 어떻게 될까? (1) | 2025.03.05 |